JAVA 13

[JAVA] getParameter()와 getAttribute()의 차이점

getParameter()메서드의 경우 String타입을 리턴하는반면, getAttribute()는 Object 타입을 리턴하기 때문에 주로 빈 객체나 다른 클래스를 받아올때 사용된다. getParameter()는 웹브라우저에서 전송받은 request영역의 값을 읽어오고 getAttribute()의 경우 setAttribute()속성을 통한 설정이 없으면 무조건 null값을 리턴한다. *attribute란 servlet간 공유하는 객체입니다. http://hsprnote.blogspot.com/2017/03/jsp-getparameter-getattribute.html JSP - getParameter()와 getAttribute()의 차이점 일단 가장 큰 차이점은 둘의 리턴 타입이다. getParame..

JAVA 2021.06.28

[JAVA] 서블릿이란?

Servlet(서블릿)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,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[ Servlet 특징 ]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작동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html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한다. Java Thread를 이용하여 동작한다. MVC 패턴에서 Controller로 이용된다. HTTP 프로토콜 서비스를 지원하는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는다. UDP보다 처리 속도가 느리다. HTML 변경 시 Servlet을 재컴파일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. https://mangkyu.tistory.com/14

JAVA 2021.06.28

[JAVA] 내장 객체

내장 객체 JSP가 기본적으로 내장하고 있어서 따로 선언하거나 만들어줄 필요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한 객체 https://codevang.tistory.com/198 JSP 내장 객체_request, response, out [1/4] [ JSP 내장 객체 ] 개발자가 객체를 별도로 생성하지 않아도 JSP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 컨테이너가 JSP를 서블릿으로 변환할 때 자동으로 객체가 생성됨 request, response, out, page, config, applicati codevang.tistory.com

JAVA 2021.06.28

[JAVA] equals(), == 차이점

1. == 비교를 위한 연산자 주소의 값을 비교합니다.(Call By Reference) 주소의 값이란 실제 내용의 값이 아닌 자료의 위치의 값 2. equals() 메소드 equals() 메소드는 객체끼리 내용 비교합니다.(Call By value) https://lnsideout.tistory.com/entry/JAVA자바-문자열-비교-equals-사용법-및-차이점 [JAVA]자바 문자열 비교 equals(), == 사용법 및 차이점 java 문자열 비교 제대로 알고 사용합시다. 안녕하세요 오늘은 문자열 대표적으로 문자열 비교하는 equals() 메소드와 비교연산자인 ==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1. == 비교를 위한 연산자 주소의 lnsideout.tistory.com

JAVA 2021.06.24

[JAVA] Scanner 클래스

Scanner 클래스 - 정수, 실수, 문자열을 읽어온다. import java.util.Scanner; - 외부클래스 호출 Scanner 객체 생성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 next() 메소드 - 공백 이전 까지의 문자열을 입력 받는다. 정수 입력 : nextInt() 실수 입력 : nextDouble() 문자열 전체 : nextLine() https://maktooob.tistory.com/17 자바 Scanner 클래스에 대해서 알아보자!!! 자바 Scanner 클래스 자바에서 입력받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게 스캐너 클래스입니다. 이 Scanner 클래스는 정수, 실수, 문자열을 읽어올 수 있습니다. JDK1.5부터 추가가 되었는데요. 이전에 쓰이던 makto..

JAVA 2021.06.24

[JAVA] 기본형 타입

기본형 기본형 타입은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 타입으로써 정수형, 실수형, 문자형, 불린형을 의미한다.논리형 논리형은 크기가 1byte이고 true와 false 중에 한 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. 문자형 문자형은 char로 2byte크기를 가집니다. 문자는 작은따옴표를 이용하여 한 글자를 표현할 수 있다. 정수형 정수형은 정수를 표현하는 데이터 타입인데 표현할 수 있는 정수의 범위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공된다. 정수형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int는 4바이트이다. long형은 8byte크기를 가진다. int 보다 더 큰 범위의 정수를 표현하고 싶을때 사용한다. 실수형 실수형은 float과 double형이 있다. float은 4바이트, double은 8바이트로 double은 float보다 더 큰 범위의 실수..

JAVA 2021.06.22